2025-11-26 HaiPress
단백질 발현·전달 효율 개선
항암 백신·CAR-T 등 확장 가능성

GC녹십자가 국내외 학회서 ‘mRNA-LNP 플랫폼’ 성과를 발표했다. 사진=GC녹십자 GC녹십자가 차세대 신약 개발 기반이 될 메신저리보핵산의 전달체 지질나노입자(mRNA-LNP) 플랫폼 기술을 국내외 학회에서 잇따라 발표했다. GC녹십자는 mRNA의 단백질 생산 효율을 높이는 UTR(비번역 구간) 설계 기술과 AI 기반 코돈(단백질 생성 암호) 최적화 기술을 적용해 발현량과 지속성을 개선했다고 26일 밝혔다.
GC녹십자가 독자 구축한 LNP 플랫폼 역시 세포 특이적 전달 효율이 개선되고 독성 지표가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이 같은 기술을 바탕으로 코로나19·독감 백신뿐 아니라 항암 백신,희귀질환 치료제,유전자 편집,키메라항원수용체 T세포(CAR-T) 등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다.
GC녹십자의 LNP를 적용한 항암 백신에서는 면역계가 암 항원을 더 강하게 인식하는 반응이 나타났고,동물실험에서는 종양 크기를 줄이는 효과도 확인됐다.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CD8+ T세포 활성 증가와 연관된 결과다.
mRNA 기술을 적용한 CAR-T 후보물질도 체외 평가(ex vivo)에서 B세포를 99%까지 제거하며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B세포 제거율은 CAR-T 항암 기능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비정상 B세포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느냐가 치료 효과와 직결된다. 회사는 암뿐 아니라 자가면역질환 분야로도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마성훈 GC녹십자 MDD본부장은 “mRNA-LNP 플랫폼은 백신을 넘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며 “GC녹십자는 축적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혁신 치료제 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Powered by
perplexity
mRNA-LNP 플랫폼 기술 도입이 국내 백신 산업에 미칠 영향은?
AI 기반 코돈 최적화 기술 활용이 신약 개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배경은?
검색
[표] 외국환율고시표
[포토] 올해의 스타브랜드 소개합니다
은행 보험판매 규제 확 풀어 인기 상품 더 많이 팔게 한다
[단독] "ELS 손실나면 은행직원 판매실적서 제외"
LS일렉, 4600억원 역대급 수주 美 초고압 변압기 시장서 질주
[단독] 기획재정부 ‘한은 마통’ 영끌 최대···3분기에만 70조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