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HaiPress
탄소중립녹색성장委
전력 부문 최대 75% 줄여야
5년간 기업부담 5조원 늘어나
2018년 대비 2035년 탄소 배출량 감축 비율을 뜻하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가 53~61%로 사실상 확정됐다. 현행 10%인 탄소 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은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높아져 50%에 이를 전망이다.
10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의결했다. 우선 정부는 2035 NDC를 53~61%로 정했다. 이는 2035년 탄소 순배출량을 2018년(7억4230만t) 대비 53~61% 감축하는 것이다. 2015년 NDC가 최초로 설정된 이후 처음 범위로 제시되는 만큼 각 부문에서도 배출량 감축 목표가 범위로 제시됐다. 2035년 탄소 배출량을 전력은 2018년 대비 68.8~75.3%,산업은 24.3~31.0%,건물은 53.6~56.2%,수송은 60.2~62.8% 감축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는 '제4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안'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시행될 계획안에서는 우선 발전 부문 유상할당 비율을 현행 10%에서 2030년 50%까지 단계적으로 상향하기로 결정됐다. 2026년에는 15%,2027년에는 20%,2028년에는 30%,2029년에는 40%,2030년에는 50%로 높아질 예정이다.
철강·석유화학·시멘트·정유·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수출 비중이 높은 대부분의 업종은 국제 경쟁력을 고려해 100% 무상할당을 유지하기로 했다.
처음으로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본계획'을 세운다는 방침도 밝혔다. 해당 계획을 통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제 수준의 기후 감시 체계를 갖추는 것이 목표다.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기온,강수량 등 핵심 기후 변수 100여 개를 선정하고 관측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NDC는) 단순 수치가 아니라 탈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는 목표이자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성장 지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한상공회의소 등 8개 단체는 지난 5일 '산업계 공동건의문'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제시한 4개 안 가운데 '48% 감축' 외에는 각 부문과 업종에서 얼마나 어떻게 감축할지 수단과 근거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 계획대로면 2026년부터 5년간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권 구입 부담이 5조원이나 늘어난다"고 호소했다.
[강인선 기자 / 곽은산 기자 / 지혜진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Powered by
perplexity
46,250
+ 4.88%
036460,
KOSPI
42,550
+ 2.53%
005490,
KOSPI
303,500
+ 1.51%
한국전력
현재가 46,250
+ 4.88%
11.10 15:30
한국전력공사는 국내 최대의 전력 공급 기업으로,발전 자회사들을 통해 전국적으로 전력을 생산 및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대규모 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화력,원자력,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 기반의 전력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정부는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53~61% 감축으로 확정하였으며,발전 부문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율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50%까지 상향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의 발전 자회사들은 탄소배출권 구매 비용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유상할당 비율의 확대는 발전 자회사의 운영비용 구조와 전력 생산 원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에너지 정책,국제 원자재 가격,전력 수요 변화,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등 외부 환경 변화가 회사의 비용 구조와 수익성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는 전력 요금 조정 및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등으로 사업 구조를 다각화해왔으며,정책 변화에 따른 경영 전략 조정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한국가스공사
현재가 42,550
+ 2.53%
11.10 15:30
한국가스공사는 국내 천연가스 도입 및 공급을 전담하는 공기업으로,LNG 도입,저장,공급 인프라를 전국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해외 가스전 개발,천연가스 도입 및 도매 공급이며,안정적인 에너지 공급망과 대규모 저장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발전 부문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율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50%로 상향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발전사들의 온실가스 배출권 구매 비용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며,전력 생산 비용 및 전기요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천연가스는 석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어,발전사들이 탄소배출권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천연가스 발전 비중을 높일 경우 한국가스공사의 도매 공급량과 사업 구조에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국제 에너지 가격,환율,정부의 에너지 믹스 정책,글로벌 LNG 시장 동향 등 외부 변수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존재하며,최근에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에 맞춰 해외 가스전 투자와 신재생에너지 사업 진출 등 사업 다각화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POSCO홀딩스
현재가 303,500
+ 1.51%
11.10 15:30
포스코홀딩스는 철강 제조를 중심으로 에너지,소재,친환경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입니다. 주력 사업은 고부가가치 철강 제품 생산이며,원재료 조달,대규모 생산설비,글로벌 유통망 등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철강 등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은 국제 경쟁력을 고려해 온실가스 배출권이 100% 무상할당됩니다. 이에 따라 포스코홀딩스는 발전 부문과 달리 단기적으로 탄소배출권 구매 비용 부담이 직접적으로 증가하지 않습니다. 다만,글로벌 탄소중립 정책과 수출 시장의 탄소 규제 강화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해야 합니다.
글로벌 경기,원자재 가격,무역 규제,탄소중립 정책 등 외부 변수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존재하며,최근에는 수소환원제철 등 친환경 기술 개발과 신사업 투자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Powered by
perplexity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상향이 산업계에 미칠 영향은?
배출권 유상할당 비중 확대 결정의 정책적 배경은?
검색
지역 핫플이던 국립대 앞, 이젠 폐업의 거리 … 대로변도 '임대'
지역 핫플이었는데 학생 대신 중장년층만…대학가, 이젠 폐업의 거리
[표] 외국환율고시표
현대차 중국법인, 첫 현지인 수장 발탁
재정경제부, 1급 5명 → 8명 '확' 늘린다
발전사 '탄소배출권 구매비' 5배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