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IDOPRESS
‘꼴찌의 반란’. 최근 미국 D램 반도체 회사 마이크론이 실적을 발표하자 월스트리트와 여의도에서 동시에 터져나온 반응이다. D램 시장에서 마이크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은 3등 회사였다. 그러나 인공지능(AI) 시대 전력 소비는 줄이고 성능은 크게 개선된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 전략이 통하고 있다는 점이 이번 실적에 반영되며 ‘깜작 실적’을 내놨다.
블룸버그와 챗GPT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3분기(2∼5월)에 93억 달러(12조661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월가 예상치는 88억6000만~89억달러 였다. 이번 분기 1.91달러의 주당 순이익(EPS)는 시장 예상치(1.6~1.61달러)를 뛰어 넘었다. 투자자들은 이제 마이크론을 다시 보기 시작했다.

마이크론 2025년도 3분기 실적. 진한 색이 실제 발표 실적. <자료=챗GPT>
전통 D램 포기하고 AI용 HBM 올인 선언 마이크론
신협·경기도, 사회적경제기업 ‘상생·포용 금융’ 손잡는다
“韓디지털 혁신 배우러” 스위스 금융 리더들, 토스뱅크 방문
CJ제일제당, 올리브영과 함께 단백질 브랜드 ‘단백하니’ 출시
“게임하고 빼빼로선물 받아가자” 카뱅, 세븐일레븐과 손 잡았다
GS리테일, 3분기 영업익 31.6% 오른 1111억원…“본업 내실 강화”
‘부실 논란’ 새마을금고, 연체율 8.37% → 6.78%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