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IDOPRESS
‘꼴찌의 반란’. 최근 미국 D램 반도체 회사 마이크론이 실적을 발표하자 월스트리트와 여의도에서 동시에 터져나온 반응이다. D램 시장에서 마이크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은 3등 회사였다. 그러나 인공지능(AI) 시대 전력 소비는 줄이고 성능은 크게 개선된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 전략이 통하고 있다는 점이 이번 실적에 반영되며 ‘깜작 실적’을 내놨다.
블룸버그와 챗GPT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3분기(2∼5월)에 93억 달러(12조661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월가 예상치는 88억6000만~89억달러 였다. 이번 분기 1.91달러의 주당 순이익(EPS)는 시장 예상치(1.6~1.61달러)를 뛰어 넘었다. 투자자들은 이제 마이크론을 다시 보기 시작했다.
마이크론 2025년도 3분기 실적. 진한 색이 실제 발표 실적. <자료=챗GPT>
전통 D램 포기하고 AI용 HBM 올인 선언 마이크론
SuiFest 플래티넘 스폰서 DipCoin, 현장 최고 인기 부스로 이목 집중
신라호텔 “11월 초 결혼식 일정대로 진행…변경요청 취소”
액상 ·정제 원터치로 한번에 섭취…코스맥스바이오, ‘듀얼팩’ 개발
11월 29일 매경TEST, 같은 달 17일까지 접수
깊어지는 하나은행-업비트 밀월관계…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
“외국인 근로자 잡자”…신한은행, 외국인 전용 신용대출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