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HaiPress
181조5080억원.
지난해 말 기준 재계 10대 그룹(농협 제외)의 단기성 차입금 규모입니다.
국내 신용평가사 한국신용평가의 주요 그룹 재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집계한 금액이죠.
최근 3년 새 최고치입니다.
1년 전(159조원)은 물론이고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됐던 2년 전(149조원)과 비교해도 30조원 이상 늘었죠.
단기성 차입금이 총차입금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어느새 40%를 훌쩍 넘어섰습니다.
10대 그룹이 빌린 100만원 중 40만원은 1년 이내 갚아야 할 돈이라는 의미죠.
10대 그룹은 그간 경영 상황 악화에도 단기성 차입금 비중을 40% 미만으로 유지했지만,이제는 힘에 부치는 모양새입니다.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어온 재계 10대 그룹에 비상등이 켜진 모습입니다.
글로벌 경기 불황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 등 악재가 겹치면서 경영 여건이 악화돼 고금리 단기 차입금을 대거 늘리고 있죠.
당장 자금 조달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지만 기업 입장에선 재무 여건 악화를 피할 수 없습니다.
갈수록 불안해지는 10대 그룹의 재무 구조 실상을 들여다봤습니다.
매경이코노미 이슈에서 자세히 살펴보시죠.
취재 : 김경민,최창원,조동현 기자
편집 : 정윤정 기자
장시성 패션기술대학교 천룽, CHEN.1988로 밀라노 쇼케이스 마무리… "가을의 이상", 국제적인 반향
The Honorary Gala of China International Candy Season Opened at Beijing Shougang Park
SuiFest 플래티넘 스폰서 DipCoin, 현장 최고 인기 부스로 이목 집중
신라호텔 “11월 초 결혼식 일정대로 진행…변경요청 취소”
액상 ·정제 원터치로 한번에 섭취…코스맥스바이오, ‘듀얼팩’ 개발
11월 29일 매경TEST, 같은 달 17일까지 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