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IDOPRESS
[사진 = 챗 GPT 생성]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정 가이드라인이 이달부터 적용되면서 보험사마다 주요 상품의 보험료가 최고 30% 이상 급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보험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주요 손해보험사들이 무·저해지 보험료를 일제히 올렸다.
무·저해지 보험은 납입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이 없거나 적어 보험료가 일반 보험상품보다 저렴한 상품을 말한다.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이 새 보험회계기준(IFRS17) 도입 이후 무·저해지 상품과 관련해서 해지율을 자의적으로 높게 가정해 실적을 부풀렸다고 진단하고 예정 해지율을 낮추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가이드라인 적용으로 보험사와 상품에 따라 인상률은 큰 차이를 보인다.
3대 진단비,상해·질병 수술비 등 주요 담보가 포함된 간편심사보험 대표 상품 2종의 50∼60대(대표 가입 연령) 남성 보험료를 보면 현대해상은 평균 7.8%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삼성화재가 6.3%,KB손해보험이 5.0%,DB손해보험 4.1%,메리츠화재 1%를 올렸다.
같은 상품의 여성 보험료 기준으로는 DB손보 7.6%,현대해상이 6.1%,삼성화재가 5.1%,KB손보 4.4%를 각각 올렸고,메리츠화재는 오히려 보험료를 10% 내린 것으로 조사됐다.
40대 남성 기준 통합보험 보험료를 살펴보면 KB손보는 전월대비 32.7% 인상했고 삼성화재(16.9%),DB손보(16.0%)도 두 자릿수 인상률을 보였다. 이어 메리츠화재 7.7%,현대해상 3.4% 등으로 집계됐다.
어린이보험 남아(10세 기준) 보험료 인상률은 삼성화재(27.9%),DB손보(27.7%),KB손보(25.0%),현대해상(16.4%),메리츠화재(4.1%) 등 순이었고,여아 보험료는 삼성화재(29.4%),DB손보(27.5%),KB손보(24.9%),현대해상(20.4%),메리츠화재(13.3%)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해지율을 낙관적으로 가정한 보험사일수록 이번 달부터 보험료 인상 부담이 커졌고 그것이 고스란히 상품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삼계탕 한그릇 2만원 육박…“차라리 돼지고기 먹겠다”
“회의실 말고 현장으로”…하나은행, 美 관세 피해기업 직접 챙긴다
컴포즈커피, 가맹점 3000호점 돌파…‘서울올림픽파크포레온점’ 오픈
[단독] 신용사면 받은 3명 중 1명...또 빚 안 갚았다
“강남3구·용산 토허제 연장에 무게추”…성동·마포도 지정 초읽기?
“농민 중요한 건 알겠는데, 농퓰리즘 끝이 없네”…도매상 돈으로 농산물 최저가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