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3 IDOPRESS
작년 청년 박사는 절반 무직
지난해 국내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10명 가운데 3명이 현재 무직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무직자 중에는 인문학,자연과학,사회과학 전공자들의 비중이 높았고 보건복지,교육,경영 분야 박사는 상대적으로 취업에 성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 중 현재 재직 중이거나 취업이 확정된 비율은 70.4%로 나타났다. 일자리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무직자의 비율은 29.6%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구직 중인 실업자는 26.6%,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는 3.0%였다.
무직자 비율은 2014년 24.5%에서 2019년 29.3%로 껑충 뛰어올랐고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특히 30세 미만 청년층 신규 박사 중 무직자도 47.7%에 달해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았다. 이 중 구직 활동을 했지만 취업하지 못한 실업자가 45.1%,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비경제활동인구가 2.6%였다.
이러한 현상은 고학력자를 위한 양질의 고임금 일자리가 부족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을 비롯한 학계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빠른 발전이 고소득·고학력자의 일자리를 더욱 많이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공별 무직자 비율을 살펴보면 예술 및 인문학 전공자가 40.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자연과학·수학 및 통계학(37.7%),사회과학·언론 및 정보학(33.1%) 전공자의 무직자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무직자 비율이 낮은 분야는 보건 및 복지(20.9%),교육(21.7%)으로 조사됐다.
[이지안 기자]
금감원 불시검사 손본다…사전예고후 점검 제도화
금융결제원, 업스테이지와 손잡고 ‘국가대표 AI’ 정예팀 합류
[속보] 김문수·안철수·장동혁·조경태 국힘 본경선 진출…주진우 탈락
“물을 물로 봤다간 큰 코 다친다”…AI·반도체·제약산업 핵심 경쟁력은 ‘이것’
[속보] 김건희특검 “尹 체포집행 중단…완강한 거부로 부상 우려”
신협 “상호금융권 의심거래 차단”…모니터링실 구축해 73억 피해 막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