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3 HaiPress
지난달 1년전보다 3% 감소
韓 수출둔화세 본격화 전망

[사진 = 연합뉴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16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하면서 올해 수출 부진 경고등이 켜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까지 본격화되면 수출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96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 감소했다. 2023년 11월 반도체 수출이 플러스 전환한 후 15개월 연속 증가했던 흐름이 끊긴 것이다. 지난해 2월 66.7%였던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올 1월 8.1%로 떨어졌다.
중국산 저가 공세로 낸드플래시 등 범용 메모리 반도체 고정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지난달 반도체 수출이 하락세로 전환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낸드(128Gb) 고정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53.1% 하락했다. 지난달 대중국 반도체 수출액도 크게 줄며 전년 동월 대비 15.3% 감소했다.
지난달 전체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 증가한 526억달러를 기록하며 한 달 만에 플러스 전환했다. 무선통신기기·자동차 등이 수출 반등을 견인했다. 무선통신기기는 전년 동월 대비 42.3%,자동차는 17.8% 수출액이 증가했다. 지난달 무역수지도 43억달러 흑자를 달성하며 흑자 전환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 수출액은 1017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75% 줄어들었다. 설 연휴 영향을 배제하더라도 올해 수출액이 감소한 것으로 수출 둔화세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실제로 적용된 건 아님에도 수출 실적이 좋지 않게 나왔다”며 “올해 수출 상황은 상당히 많은 도전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한·하나·기은 "금리 더 드려요" … 나라사랑카드로 20만 軍心 잡는다
[포토] 중구 우리銀 점포에 임산부 전용좌석
정부 탄소감축안 목표 봤더니…10년간 최대 850조 투입해야
[표] 외국환율고시표
생산금융은 우리가 최고…중소기업 지원책 쏟아내는 은행들 [금융가 톺아보기]
'172조 치매머니' 관리에 공공신탁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