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7 HaiPress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고물가·고금리에 1인 가구의 살림살이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4년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광역시에 거주하고 독립적 경제활동 중인 25∼59세 남녀 1인 가구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조사 대상의 연평균 소득은 3780만원으로 집계됐다.
월 소득 중 주거비·식비·여가비 등 생활비로 평균 40.8%가 지출됐다.
이 밖에 소득의 12.6%는 대출 상환에,30.3%는 저축에 썼다.
생활비와 대출 상환의 비중은 2년 전보다 각각 2.1퍼센트포인트(%p),1.8%p씩 늘었고,저축 비중에는 변화가 없었다.
반대로 여유자금의 비중은 20.1%에서 16.2%로 3.9%p나 줄었다.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고금리와 고물가로 생활비 부담이 늘어 허리띠를 졸라매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1인 가구의 하루 평균 끼니 수는 1.8회로,하루에 보통 두 끼도 채 먹지 않고 있다. 이는 2022년(평균 2.2끼)보다 줄어든 수치다.
1인 가구의 금융자산을 종류별로 나눠보면 유동성 자산(현금·수시입출금·CMA 등)이 40.1%로 가장 많았고,예·적금(36.2%),주식·ETF·선물·옵션(15.0%)이 뒤를 이었다. 2022년과 비교해 유동성 자산과 예·적금을 포함한 ‘안정형 자산’의 비중이 7.8%p 커졌다.
대출 보유율은 54.9%로 2년 전보다 7.2%p 올랐지만,대출 잔액은 9900만원에서 7800만원으로 줄었다.
부동산 자산의 경우 1인 가구의 45.1%가 월세로 거주하고 있었다. 전세와 자가 거주자는 각 30.0%,21.8%를 차지했다.
2년 전보다 월세 비율만 8.9%p 뛰고 자가와 전세는 각 6.2%p,2.1%p 떨어졌다.
빠듯한 재정에 부수입 활동도 활발해졌다.
이번 조사에서 1인 가구 54.8%가 “부수입 활동을 한다”고 답했다.
2022년 같은 조사 당시(42.0%)와 비교해 부수입 활동 비율이 2년 사이 12.8%p나 높아졌다.
부업의 배경으로는 여유·비상 자금 마련(38.7%),시간적 여유(18.7%),생활비 부족(13.2%) 등이 꼽혔다.
부업의 종류로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시청하거나 임무를 수행하고 보상을 얻는 이른바 ‘앱테크’의 비중이 42.1%에 이르렀다. 이어 소셜 크리에이터·블로거(6.2%),서비스직 아르바이트(3.8%) 순이었다.
장시성 패션기술대학교 천룽, CHEN.1988로 밀라노 쇼케이스 마무리… "가을의 이상", 국제적인 반향
The Honorary Gala of China International Candy Season Opened at Beijing Shougang Park
SuiFest 플래티넘 스폰서 DipCoin, 현장 최고 인기 부스로 이목 집중
신라호텔 “11월 초 결혼식 일정대로 진행…변경요청 취소”
액상 ·정제 원터치로 한번에 섭취…코스맥스바이오, ‘듀얼팩’ 개발
11월 29일 매경TEST, 같은 달 17일까지 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