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7 HaiPress
전세보증금 반환사고액 급증
대규모 손실에 7천억 채권 발행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해 발생한 ‘깡통 전세’ 등 전세 보증사고 규모가 올 10월까지 4조원을 넘어섰다. 이를 대신 돌려주느라 2년 연속 3조원대 영업손실을 보게 된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이달 말 최대 7000억원 규모의 채권 발행에 나선다.
17일 HUG에 따르면 올해 1∼10월 전세사기 등 여파로 발생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사고액은 4조291억원에 달한다. 이에 올해 보증사고액은 역대 최고 규모였던 작년 사고액(4조3천347억원)을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전세보증이란 세입자가 집주인으로부터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때 HUG가 자체 자금으로 먼저 세입자에게 반환한 뒤 2∼3년에 걸쳐 경매 등으로 회수하는 상품이다.
전세보증에 가입한 주택의 세입자에게 반환을 요청받은 HUG가 올해 1∼10월 내어준 돈(대위변제액)은 3조3271억원이다. 대뷔변제액은 2021년(5041억원)과 2022년(9241억원) 대비 2023년(3조5544억원)부터 급증하고 있지만,올 8월 기준 집주인으로부터 받아내는 회수율은 8%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대규모 적자를 우려한 HUG가 자본금 확충을 위해 5000억∼7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납·카드뮴 통 속에 빠뜨린 수준”…싼 맛에 사는 수입 짝퉁, 발암물질 범벅
“이웃나라 입맛도 접수”…농심 신라면 툼바, ‘일본 히트상품’ 선정
현대차, 헝가리 교통소외 주민 지원…AI모빌리티 실증 성공
LS전선, 美데이터센터에 버스덕트 대규모 공급
하나은행, 수출입기업 돕는 1.5조원 특판대출 출시
LX인터내셔널, 3분기 영업익 648억원…전년比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