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2 HaiPress
가구수 2042년부터 감소 전환
65세이상 가구 30년뒤 1000만
有자녀 가정보다 딩크 많아져
저출생 고령화로 2042년이면 국내 가구 수가 본격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65세 이상 고령 가구주가 30년 내 2배 이상 증가하고 독거노인이 늘면서 1인 가구는 2037년이면 전체 가구의 40%를 차지하게 된다.
12일 통계청 장래가구추계(2022~2052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2166만가구였던 국내 총가구는 2041년 2437만2000가구까지 증가해 정점을 찍은 후 감소세로 접어들 전망이다. 2052년에는 2327만7000가구까지 줄 것이라고 통계청은 추산했다.
평균 가구원 수도 줄어들 전망이다. 2022년 평균 가구원 수는 2.26명이었으나 2052년 1.81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심화된 결혼·출산 기피 풍조로 1인 가구와 자녀 없는 부부 가구는 증가할 전망이다. 2022년 기준 1인 가구와 부부 가구는 각각 34.1%,17.3%였는데,2052년에는 41.3%,17.4%로 늘어난다. 1인 가구는 모든 가구 중에서 비중이 가장 높아진다.
특히 2037년에는 40.1%로 처음 40%를 돌파하며 10가구 중 4가구가 1인 가구가 된다. 2인 가구(33.0%)를 합치면 네 집 가운데 세 집꼴로 혼자 살거나 둘이 사는 셈이다.
1인 가구는 연평균 7만4000가구씩 증가한다. 2022년 738만9000가구에서 2052년 962만가구로 30년간 200만가구 이상 불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자녀가 딸린 부부·자녀 가구 비중은 27.3%에서 22.8%로 줄어들 전망이다. 가구 수도 590만가구에서 405만가구로 쪼그라들어 자녀가 없는 '딩크족' 가구 수(532만가구)보다 적어지게 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2052년까지 연평균 1인 가구는 7만4000가구씩,부부 가구는 5만3000가구씩 증가할 전망"이라며 "반면 자녀가 딸린 부부·자녀 가구는 연평균 6만2000가구씩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가구주 고령화 현상도 예상된다.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5000가구에서 2052년 1178만8000가구로 2.3배 증가할 전망이다.
고령자 가구의 유형별 비중은 2052년이 되면 1인 가구(42.1%),부부 가구(34.4%),부부·자녀 가구(7.1%) 순으로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상 독거노인이나 노부부 둘이서 사는 가구가 고령자 가구의 대부분이 될 것이란 뜻이다.
[한재범 기자]
“작년 종합소득 가장 높았던 곳, 강남구 아니고 여기”…1인당 1억3000만원
소녀시절 탈출하듯 떠난 완도 청년들 살기좋은 곳 만들래요
인니서 어려움 겪은 KB, 캄보디아로...KB국민카드, 현지 자회사 합병 최종인가
이복현 “내년 실수요자 가계대출 여유 느끼게 할 것”…대출 숨통 트나
‘막판까지 수출 집중’...디스플레이·바이오 등 산업현장 산업부 장·차관 총출동
말레이시아에 뜬 ‘식혜·군고구마’…K카페의 진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