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9 HaiPress
이광형·린다 밀스 총장 MOU
연내 10개 분야 공동연구도
"AI동맹,세계적 인재 배출"
린다 밀스 총장(왼쪽)과 이광형 총장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KAIST
KAIST가 미국 뉴욕대와 손잡고 인공지능(AI) 분야 글로벌 인재 육성에 나선다. KAIST는 뉴욕대와 인공지능 분야 공동학위제(Joint Degree)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9일 오후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이광형 KAIST 총장,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 등 관계자 및 국내 기업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두 학교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분야 대학원 과정 공동학위제를 설계하기 위한 운영위원회를 올해 안에 설치할 예정이다. 인공지능 분야에서 해외 명문대학과 공동학위가 만들어지는 것은 국내 최초다.
위원회는 두 학교의 교수진을 같은 숫자로 구성한다. 교육과정·교수진 및 학생 규모·예산 등이 포함된 공동학위제의 큰 틀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KAIST와 뉴욕대의 인공지능 공동학위를 상징하는 신규 로고 개발도 진행된다.
학생들은 두 학교 교수진이 추진하는 다양한 국제 공동 연구 사업에 참여해 연구 경험을 쌓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AI 분야 우수 인적자원을 꾸준히 양성하는 것이 이번 공동학위제의 핵심이다.
KAIST와 뉴욕대학교는 2022년 6월 공동캠퍼스 구축을 위한 협력 협정을 체결한 이후 캠퍼스 공유·공동연구 등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2023학년도 2학기부터는 학사과정 학생들의 교환학생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선발 경쟁을 통해 KAIST에서 30명,뉴욕대에서 11명의 학생이 선발돼 참여 중이다.
두 학교는 석·박사 과정 학생을 위한 복수학위(Dual Degree) 제도 도입에도 합의해 현재 구체적인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이밖에도 올해 4분기부터는 인공지능·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10개 분야 국제 공동연구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시대에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은 국가와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며 "뉴욕대와의 장기적 협력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인재 양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정지성 기자]
항공편 지연 시 공항 라운지 혜택...BC카드 출시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0.9% 상향…기준금리는 또 동결
“GD님이라니”…대한항공, 지드래곤 ‘잠옷 공항패션’에 감격한 이유?
“내 카드가 뭐뭐 있었지?”…잠자는 카드 2000만장, 한번에 해지하는 꿀팁
경기 불황에 카페로 몰려든 5060세대 왜?
KB금융·서경덕·이상순 손잡고...광복80주년 캠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