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HaiPress
저고위 치매머니 대토론회
민간신탁 어려운 취약층 지원
금융사 치매상품 공급도 활용

172조원에 달하는 국내 치매머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다. 공신력 있는 공공기관이 치매환자의 자산관리를 대신해주는 '국가 공인 재산 집사'(공공신탁) 도입 논의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7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인구전략 공동포럼을 열고 치매 노인 자산의 안심 관리를 위한 향후 정책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저고위,보건복지부,금융위원회,법무부 등 관계부처를 비롯해 가정법원과도 협의를 지속한다.
치매머니란 고령 치매환자들이 보유한 현금,예·적금,주식,부동산 등을 포함한다. 고령화에 속도가 붙으면서 2050년엔 치매머니가 488조원(GDP의 15.6%)까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저고위는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효율적인 치매머니 관리 방안으로 △공공신탁 도입 △후견제·신탁 연계 강화 △민간시장 활성화 등 3가지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정부는 우선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강조한 한국형 치매 공공신탁 제도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민간신탁 이용이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해 한국형 공공신탁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신뢰도 높은 공공기관이 직접 치매환자와 신탁계약을 맺고 매달 생활비·병원비·간병비 등을 지급하는 식이다.
광역 단위 공공기관을 활용하거나 별도 법인(공공수탁기관)을 설립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또 민간의 치매보험·신탁 개발을 활성화해 시장의 상품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차창희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Powered by
perplexity
123,700
- 1.28%
055550,
KOSPI
77,400
- 2.27%
086790,
KOSPI
92,000
- 1.08%
KB금융
현재가 123,700
-1.28%
11.07 15:30
KB금융지주는 국내 주요 금융지주회사로,은행,보험,자산운용,신탁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탁사업 부문에서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 자산관리와 관련된 신탁 상품을 운영하고 있으며,신탁업 인가를 보유한 금융기관입니다. 최근 정부가 치매머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공공신탁 도입과 민간시장 활성화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신탁업 인가를 보유한 금융기관의 역할 확대와 상품 개발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KB금융지주 산하 은행 및 계열사는 치매머니 관리 정책 변화에 맞춰 자산관리 서비스와 고령자 맞춤형 금융상품 공급 등에서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될 수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신한지주
현재가 77,400
-2.27%
11.07 15:30
신한지주는 국내 대표 금융지주회사로,신한은행,신한생명,신한자산운용 등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치매환자 자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공공신탁 도입과 민간 신탁시장 활성화 정책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신한지주 계열 금융사는 신탁업 인가를 바탕으로 고령자 및 치매환자 대상 신탁상품과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신한은행은 유언대용신탁,후견지원신탁 등 고령자 맞춤형 신탁 상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령화,치매환자 증가,자산관리 수요 확대,신탁제도 개선 정책 등이 외부 환경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신한지주는 자산관리와 신탁부문에서 실적 개선세를 보이고 있으며,고령자 금융시장 확대에 따라 관련 사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하나금융지주
현재가 92,000
-1.08%
11.07 15:30
하나금융지주는 국내 주요 금융지주회사로,하나은행을 중심으로 신탁업 인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령자 및 치매환자 자산관리 신탁상품 제공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은 확인되지 않으나,하나은행은 유언대용신탁,후견신탁 등 다양한 신탁상품을 통해 자산 이전,상속,생활비 지급 등 맞춤형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공공신탁 도입과 민간 신탁시장 활성화 정책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신뢰도 높은 금융기관을 통한 치매머니 관리체계 구축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는 신탁사업 확장,상품 개발,고령자 자산관리 서비스 강화와 관련된 환경 변화 속에서 자산관리 및 신탁사업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Powered by
perplexity
공공신탁 도입 논의가 치매환자 자산관리 체계에 미칠 영향은?
치매머니 급증 전망이 고령사회 경제구조에 가져올 파급 효과는?
검색
신한·하나·기은 "금리 더 드려요" … 나라사랑카드로 20만 軍心 잡는다
[포토] 중구 우리銀 점포에 임산부 전용좌석
정부 탄소감축안 목표 봤더니…10년간 최대 850조 투입해야
[표] 외국환율고시표
생산금융은 우리가 최고…중소기업 지원책 쏟아내는 은행들 [금융가 톺아보기]
'172조 치매머니' 관리에 공공신탁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