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HaiPress
총사업비 6475억,2028년 설계 완료 예정
세계도 주목하는 국내 단일 암반 연구시설
암종 적합성 두고는 평행선,“학회 통로중요”
공단 “처분고 암반 분포가 핵심”
태백에 위치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 부지 인근에서 시추된 암석들이 정리돼있다. [신유경 기자] 지난 1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 부지 인근. 부지에서 깊이별로 시추된 4종의 암석이 원기둥 형태로 진열돼있다. 원자력환경공단이 지하 100m부터 660m까지 코어시추를 통해 확보한 암석들이다. 각 암석들은 맨 밑에 위치한 층부터 선캄브리아 시대 암석,고생대층 퇴적암,중생대층 화성암과 다시 선캄브리아 시대 암석에 해당한다. 공단이 이처럼 시추를 통해 암석의 성분을 분석한 건 부지 확정에 있어 암종 적합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14일 원자력환경공단에 따르면,공단은 강원 태백시에 URL 부지를 확정하고 총사업비 6475억원을 투입해 건설을 추진한다. URL은 실제 방폐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원전에서 나온 방폐물 처분 기술을 개발·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2060년까지 고준위 방폐장을 건설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필요한 시설이다. 고준위방폐장법에 따르면 정부는 URL과 처분시설 부지 내 지하연구시설을 모두 건설·운영해야 한다. URL과 달리 처분시설 부지 내 지하연구시설은 고준위방폐장이 들어서는 부지 내에 설치된다.
하지만 최근 URL 부지 선정 과정에서 암종 적합성이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태백 URL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한국원자력학회 내 교수진 5명으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는 URL 부지 선정이 원점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태백 부지가 화강암이 아닌 퇴적암층으로 확인됐다는 게 이유였다. 한국이 화강암을 기본 암반으로 하는 처분 방식을 개발해온 것을 감안하면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특위 위원인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처분고 근처의 암종 적합성도 중요하지만 처분고까지 가는 통로의 암종도 중요하다”며 “처분고 근처만 단일 암반이면 되는 게 아니라 가는 길까지 단일 암반이어야 한다” 고 말했다.
공단은 URL 내 실제 처분고 예상위치에 단일 기반암이 분포하고 있는지가 핵심 조건이라고 맞서고 있다. 태백 부지의 경우 처분고가 들어설 지하 약 500m 이하 심도 근처에 단일한 결정질암이 분포하고 있다는 얘기다. 공단은 지하 500m까지 단일한 화강암으로 구성된 부지도 한국 내에서 찾기 매우 어렵다고 반박했다.
부지선정 평가위원인 권상훈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화강암이라도 모든 화강암이 같은 것이 아니다”라며 “절리(균열)가 얼마나 발달했는지,절리가 하나도 없는 무결암인지에 따라 지금의 논의 자체에 대한 답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측은 부지 평가의 적합성을 두고도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학회 내 특위는 부지 평가 당시 암반 균질성과 연속성 항목의 배점이 전체의 14%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암반의 균질성이 핵심요건인 만큼 배점의 일부가 아닌 배제 기준으로 적용됐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반면 공단은 암종적합성 1차 평가항목을 충족하지 못하면 부지유치 신청 자체가 불가능했다는 입장이다. 암반의 균질성과 연속성 항목의 배점도 15점으로 전체 평가항목 배점 평균(4.2점)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태백에 들어설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 조감도. [원자력환경공단] 공단은 올해 태백 URL 건설 관련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 내년부터 사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2028년까지 설계를 마치고 2032년 준공한다는 목표다. 공단 관계자는 “신약 개발에 비유하자면 동물을 대상으로 한 전임상시험이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이고,임상시험은 고준위 방폐물 처분시설 부지 내 지하연구시설”이라며 “URL에서 최대한 효율적인 처리 방법이나 부작용 등을 연구해서 그 결과를 처분시설 부지 내 지하연구시설에서 연구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 “개인형 IRP, 1억이상 입금하면 수수료 면제”
이찬진 신임 금감원장 “주가조작·독점지위 남용에 무관용”
[르포] 방폐물 실증연구 요새 ‘태백 URL’…원자력환경공단 “부지 암종 문제 없다”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350억달러 시장 정조준
[속보] 특검 “김건희, 대부분 피의사실에 진술거부…18일 2차 소환”
‘경기 하방 압력’ 정부 보고서에서 사라져…경기 낙관하는 근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