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0 HaiPress
통화선도·이자율 스와프 증가 영향
[사진 = 연합뉴스] 지난해 환율·금리 변동성 확대에 따른 헤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금융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전년대비 1758조원(7.1%) 늘어난 2경6461조원으로 역대 최고 규모로 집계됐다.
파생금융상품은 그 가치가 통화나 채권,주식 등 기초금융자산의 가치변동에 의해 결정된다. 금융사나 기관투자자가 주식,채권,통화 등 금융상품의 가격변동위험,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주로 활용한다.
지난해 통화선도(미리 정한 가격으로 미래 시점에 특정 통화를 매매하는 계약) 및 이자율 스와프 거래가 전년대비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화선도 거래는 대외무역 규모가 늘고 환율 변동성에 따른 헤지 거래도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1021조원(6.0%) 증가했다.
이자율 스와프 거래도 지난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따른 헤지 거래가 증가하면서 550조원(9.4%) 늘었다.
상품별 거래규모는 통화 관련 거래가 1경9328조원(73.0%)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이자율 관련 6558조원(24.8%),주식 관련 469조원(1.8%),신용 관련 36조원(0.1%) 등의 순이었다.
[자료 = 금감원] 금융권역별로는 은행이 2경355조원(76.9%)으로 가장 거래 규모가 컸으며 증권 4473조원(16.9%),신탁 1196조원(4.5%) 등이 그 뒤를 따랐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장외파생상품 거래 증가는 대외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헤지 수요 증가에서 비롯됐다”며 “앞으로 시장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버스 들이받고 차도로 비틀비틀…이경규, ‘약물운전’ CCTV 공개
임금 삭감 없는 ‘주 4일제’ 기업 나왔다…7월부터 시행
정부 ‘열요금 인하’ 제도시행 최종 관문 넘었다···겨울철 난방비 3만원 부담 줄듯
K-콘텐츠가 이끄는 소비… 외국인 관광객, 이제 ‘올다무’로 간다
강남 슈퍼리치들 국장 컴백 … 방산·콘텐츠·조선株에 큰 관심
[단독] 연기금에 일반 국민까지 참여…‘공룡급’ 첨단전략기금 조성하려는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