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2 HaiPress
복지부 치매 실태조사
노인 10명중 1명이 치매
위험군 '경도인지장애' 급증
노인 치매 환자가 내년이면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치매 확률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비중이 크게 오르고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 환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보건복지부 '치매역학 및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환자 수를 뜻하는 치매 유병률은 2023년 9.25%로,2016년 9.5% 대비 감소했다. 다만 치매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비중은 같은 기간 22.25%에서 28.42%로 크게 올랐다.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언어능력 등이 객관적인 검사에서 확인될 정도로 저하돼 있으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돼 있는 상태다. 통상 10~15%가 치매나 알츠하이머병으로 이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치매 유병률이 줄어든 요인으로는 1차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 출생자가 65세 이상으로 진입한 데 있다고 복지부는 분석했다. 이들은 기존 고령층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음주와 흡연 등 건강 상태가 점진적으로 개선됐다.
다만 전체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치매 환자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치매 환자는 101만4865명으로,예상돼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2044년에는 이 수치가 200만7848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인선 기자]
토스, 보험사와 동일한 자동차 보험료로 비교·추천 서비스
이준석 “해외여행 앱 고지 가격보다 최종 결제때 비싸게 받아…규제해야”
[알립니다]어린이 경제박사 되세요…26일 경제교실 개최
“토허제 재지정 약발 제대로네”…‘강남 7건·서초 0건·송파4건·용산 1건’ 거래량 뚝
푸본현대생명, 고객 맞춤형 보장 강화 ‘건강보험 마이픽’ 특약 확대
“비트코인 강한 상승 흐름, 진짜 랠리 이제 시작”…美 암호화폐 운용사 CEO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