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3 HaiPress
성균관,500년 왕조를 지탱한 이념의 산실
유생들(1904년). 조선시대 사대부는 과거급제가 인생의 최대 과업이었고 이를 위해 반드시 성균관에 입학해야만 했다. [미국 헌팅턴 도서관(잭 런던 촬영)] “성균관 옆에서 병들어 누우니,엄동설한에 궁핍하기까지 하구나. 천리 밖 부모님 생각 간절하고,미천한 한 몸 대궐만 그리웁네(病卧賢館側,窮冬白雪飛. 懷親千里隔,戀闕一身微).”
김수인(1563~1626)의 <구봉집(九峯集)> 중 ‘病卧泮中(병와반중·성균관 공부중 병들어 누워)’의 한 대목이다. 경상도 밀양의 선비 김수인은 1608년(광해군 즉위년) 46세에 과거합격 하나만을 바라보고 성균관에 입교했다. 늦은 나이에 객지생활은 고달팠고 중병까지 걸리자 향수병이 심해졌다. 김수인은 장의(掌議·학생대표)로 있으면서 광해군(재위 1608~1623)에게 인목대비 폐모의 부당함을 간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낙향했다. 인조반정 직후 다시 성균관으로 돌아왔지만 결국 과거급제의 소원을 이루지 못한 채 죽었다. 홍직필(1776~1852)의 <매산집(梅山集)>에 실린 ‘김수인 행장(行狀)’은 “성균관에 있는 4년 간 명망이 성대하여 상께서 한창 등용하고자 하였는데 공이 갑자기 별세하였으니…”라고 했다.
버스 들이받고 차도로 비틀비틀…이경규, ‘약물운전’ CCTV 공개
임금 삭감 없는 ‘주 4일제’ 기업 나왔다…7월부터 시행
정부 ‘열요금 인하’ 제도시행 최종 관문 넘었다···겨울철 난방비 3만원 부담 줄듯
K-콘텐츠가 이끄는 소비… 외국인 관광객, 이제 ‘올다무’로 간다
강남 슈퍼리치들 국장 컴백 … 방산·콘텐츠·조선株에 큰 관심
[단독] 연기금에 일반 국민까지 참여…‘공룡급’ 첨단전략기금 조성하려는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