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HaiPress
AI 패권경쟁
"美·中 양강은 단편적 접근"
◆ 세계지식포럼 ◆
'기업 등 민간 주도 전략을 구사하는 미국,정부 주도 성장을 택한 중국. 둘 중 어떤 국가가 인공지능(AI) 패권을 쥐게 될까.'
1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장충아레나 세계지식포럼 'AI 패권경쟁: 국가전략,혁신의 출발점' 세션에서 이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이 제시됐다. 세계적인 AI 전문가들은 AI 기술 개발 경쟁에서 특정 국가·기업이 승자가 될 수 없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AI 기술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빠른 까닭에 미국,중국 등 어느 한 국가가 AI와 관련된 모든 기술을 개발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장야친 칭화대 인공지능산업연구원장은 "다수의 사람들이 미국과 중국의 AI 기술 경쟁에 주목하고 있지만,AI 기술 경쟁 구도는 단순하지 않다"며 "미국만 놓고 봤을 때 미국 AI 기업들끼리 경쟁하면서 이들은 다시 세계 여러 AI 기업들과 경쟁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에서만 200개 기업이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에 뛰어들 만큼 중국 AI 기업들끼리 경쟁이 심하다"고 덧붙였다. 잭 캐스 전 오픈AI 상업화전략 총괄도 "기술이 굉장히 빠르게 진화 중이라서 특정 국가가 AI 기술 패권을 갖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AI 혁신의 주도권을 산업계와 학계 중 누가 가져가야 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장 원장은 "지난 5~10년간 AI 혁신 기술은 구글,마이크로소프트,오픈AI,메타,엔비디아 같은 기업 즉 산업계에서 나왔다"며 "민간 기업이 AI 기술 개발을 주도해야 하는 이유"라고 주장했다.
반면에 이언 호록스 옥스퍼드대 교수는 "장기적으로 AI 투자는 기업보다 대학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게 적절하다"고 말했다. 미래 인재 육성에 더 집중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얘기다.
[신수현 기자]
Powered by
perplexity
미국과 중국의 인공지능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배경은?
정부 주도 AI 투자 확대가 글로벌 기술 혁신에 미칠 영향은?
검색
#
AI패권
엔비디아
AI기술
AI주도
KB국민카드, 고용노동부 장관이 인정한 ‘아이 키우기 좋은 기업’ 등극
[단독]“2천억 PF대출에 수수료 10% 떼였다”…증권사 갑질에 금감원은 ‘뒷짐’
13조 민생쿠폰 뿌렸지만 소비효과는 ‘글쎄’...코스피급등이 소비증가 이끌어
30대 결혼·출산, 인구 반등 이끈다
현대카드, ‘금융소비자 보호’ 총력…전사 동참 ‘소중한주’ 캠페인 실시
락앤락, ‘장애인직업재활의 날’ 맞아 굿윌스토어에 생활용품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