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HaiPress
한우값 상승폭 확대…‘소비쿠폰’ 영향
전년 대비 수박 21%·시금치 14% 올라
“8월에도 물가 불안 이어질 수도”
연이은 폭염·폭우로 채소류 물가가 상승했다. (사진=연합뉴스) 7월 소비자물가가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일부 채소류가 폭염·폭우 영향으로 큰 폭 올랐고,가공식품 물가도 4% 상승했다.
8월 5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2로 지난해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4월까지 2% 초반대 상승률을 이어오다 5월(1.9%)엔 1%대로 내려갔다. 이후 6월(2.2%)에 2%대로 복귀한 후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농축수산물 물가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2.1% 올라 6월(1.5%)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그중 축산물·수산물 물가는 각각 3.5%,7.3%씩 상승했다. 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소비가 늘어난 국산 쇠고기(4.9%)와 금어기를 지난 고등어(12.6%)가 특히 상승 폭이 컸다.
폭염·폭우 영향으로 제철 채소·과일류 상승폭도 두드러졌다. 시금치(13.6%),열무(10.1%),깻잎(9.5%) 등 더위에 취약한 품목은 지난해 대비 물가가 크게 올랐다. 올해 6월과 비교하면 시금치(78.4%),열무(57.1%) 가격 상승세는 더 뚜렷하다. 이른 더위로 수요가 급증한 수박(20.7%)도 1년 전보다 가격이 크게 올랐다.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5% 하락했지만 6월보다는 2% 상승했다. 특히 생선 및 조개류 물가는 1년 전보다 7.6% 올랐다. 이는 2023년 2월(8.1%)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가공식품·외식 물가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7월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대비 4.1% 올라 4개월째 4%대 상승률을 보였다. 유통업계 할인 행사로 6월(4.6%)보다 상승폭은 줄었지만 행사가 끝나면 다시 커질 가능성이 있다. 외식 물가는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3.2% 올랐다.
8월에도 먹거리 물가 불안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행은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8월에도 집중호우·폭염 여파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상승세를 나타낸다면 가격 불안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도 이날 물가관계차관회의를 개최해 농축수산물 폭염·폭우 피해 대응 방안을 점검했다. 정부는 수박 등 기상 영향이 큰 품목에 대해 할인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가격이 오른 쌀도 유통업체와 협력해 20kg당 3000원씩 할인 행사를 열기로 했다.
이 차관은 “기상 영향으로 일부 품목 가격 강세가 이어져 서민 부담이 크다”며 “각 부처는 가격·수급 변동성을 최소화해달라”고 당부했다.
‘10만 전자’ 코앞인데…미국법원, 삼성전자에 6000억원대 배상 평결
배민·쿠팡 ‘반칙’ 조사한다더니 하세월…공정위 배달앱 제재 1건뿐
엔비디아서만 하루 시총 327조원 날아가…미중 갈등고조에 1100조원 증발
‘더 센 미·중 갈등 오나’ 중국기업 주식·유럽증시·원유값 동반 하락
“내가 끝낸 전쟁만 8개” 노벨평화상 불발 트럼프, 내년 수상 불지펴
“그동안 낸 종신 보험료 당겨 쓰세요”…현금 인출과 보장도 된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