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HaiPress
서민 생활 관련 상거래채권도
대출처럼 추심 방법 등 제한
당국,국정위에 관리강화 보고
정수기·냉장고 등 생활용품 렌탈료 등 일상생활과 연관성이 높은 '상거래채권'에 대해서도 추심 횟수 제한 등 개인채무자보호법 적용이 추진된다.
현재 개인채무자보호법은 은행·카드사 대출과 카드 연체료 등 금융채권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있다. 취약계층에 대한 채무 부담 완화를 실생활과 밀접한 상거래채권으로 확장하겠다는 것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최근 국정기획위원회에 '상거래채권에 대한 관리체계 강화 필요성'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렌탈·구독료 등 상거래채권에 대해서도 금융당국이 보다 본격적인 감독·제도 정비에 나서겠다는 취지다. '상거래채권'은 일반 기업이 보유한 채권으로,정수기·비데·안마의자 등 가전기기 렌탈료,기업 간 외상매출금 등이 해당된다.
당국이 상거래채권에 집중하는 것은 채권추심이 이뤄짐에도 불구하고 채무자 보호장치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들 채권의 경우 일반 비금융회사도 직접 추심에 나설 수 있다. 이 경우 채무 독촉 횟수,시효 소멸 채권의 부활 제한,불법 채권추심 금지 등 금융채권에 적용되는 개인채무자보호법이나 대부업법 개정안 등의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금융당국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상거래채권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업법 개정을 통해 상거래채권도 대부업법에 포함시켜 금융채권처럼 보호받을 수 있게 하는 방안 또한 검토된다.
또 금융채권이 아닌 상거래채권을 추심하는 일반 업체에 대한 모니터링 등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소연 기자 / 이용안 기자]
상거래채권에 대한 채무자 보호 강화가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비금융회사의 채권추심 규제 확대 추진 배경은?
검색
“우린 참여 안하는데”…홈플러스 ‘새 주인 찾기’ 군불만, 중국계 기업도 후보에
우리은행, 고객 투자·성향 맞춘 ‘자산관리 포트폴리오’ 서비스 도입
“대주주 10억, 시장 영향 없다는 정부 발언은 무책임”
집 11채로 만든 ‘저커버그 왕국’…연이은 기행으로 동네 ‘골칫덩이’
돌아온 서학개미...세법 개정안 부담에 다시 미국 주식·채권
SK하이닉스 독주 ‘흔들’…中 CXMT, HBM 시장 본격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