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6 IDOPRESS
하드웨어 PQC로 보안 위협 대응
2028년 양자컴퓨터 상용화 가능성
삼성 시스템LSI,SE 솔루션 선보여
삼성전자는 양자컴퓨터 시대의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하드웨어 기반의 양자내성암호(PQC)를 탑재한 보안 칩 ‘S3SSE2A’를 개발했다고 25일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삼성전자는 양자컴퓨터 시대의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하드웨어 기반의 양자내성암호(PQC)를 탑재한 보안 칩 ‘S3SSE2A’를 개발했다고 25일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이 칩은 모바일 기기의 중요한 데이터를 양자컴퓨터의 해킹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빠른 연산 능력을 갖추고 있어 현재의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무력화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2030년 이후 양자컴퓨터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하지만,일부 연구에서는 2028년까지 100만 큐비트 규모의 양자컴퓨터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수확 후 해독(HNDL,Harvest Now,Decrypt Later)’ 방식의 공격이 현재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보안 강화가 시급하다. HNDL 공격이란 해커가 지금 데이터를 수집한 후,미래의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이를 해독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기업과 기관들은 지금부터 PQC 기반의 보안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S3SSE2A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발표한 PQC 표준 중 하나인 FIPS 204를 하드웨어에 구현했다. 해당 표준은 모듈 격자 암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며,기존 소프트웨어 방식보다 약 17배 빠른 암호 연산 속도를 제공한다. 모듈 격자 암호는 격자 기반 암호 기법 중 하나로,대형 양자컴퓨터에도 강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최단 벡터 문제(SVP)와 가장 가까운 벡터 문제(CVP) 등 수학적으로 해결이 어려운 문제를 기반으로 하며,기존 암호 방식보다 높은 보안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S3SSE2A는 단순한 보안 칩이 아니라,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보안 요소(SE) 턴키 솔루션’으로 설계됐다. 이는 응용 프로세서(AP)와 독립적으로 보안 처리를 수행하며,기존 보안 솔루션보다 더욱 강화된 보안 환경을 제공한다. 또 삼성 시스템LSI는 ‘액티브 실드(Active Shield)’와 ‘S-레이저(S-Laser)’ 등 독자적인 보안 기술을 적용해 사이드 채널 공격,하드웨어 역공학 공격,결함 주입 공격 등 다양한 해킹 위협을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 시스템LSI는 “S3SSE2A는 양자컴퓨터 시대에도 안전한 모바일 보안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모바일 보안 혁신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BGI Group Celebrates 26th Anniversary Under the Theme “Health and Beauty for All”
글로벌 확장에 대한 자신감 발휘, 기대 이상의 성과 거두다! 프리미엄 과일 토마토 브랜드 이케다™, 아시아 프루트 로지스티카(Asia Fruit Logistica)에 첫 선
예산처 승격 예산실 국장급 전원 물갈이
테슬라·오픈AI·트웰브랩스… 세상을 바꾼 그들의 '창업축제'
트뤼도부터 노벨상 석학까지 … 대전환기 아시아의 미래 논한다
"인도 개미투자자 1억 넘어 … 주가 20년간 S&P의 1.5배 올라"